시총 2조달러 증발

단 하루 만에 미국 증시에서 2조 달러, 우리 돈 약 2,870조 원이 사라졌습니다. AI 랠리를 이끌던 빅테크 주식과 코인 시장까지 줄줄이 급락했죠. 그 원인은 바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던진 '관세 폭탄' 한 마디였습니다. 지금 시장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발언이 불러온 금융 시장의 격변과 투자자들이 주의해야 할 포인트를 짚어드립니다. 당신의 포트폴리오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관세 한 마디에 흔들린 글로벌 증시


10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급락세로 마감됐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고율 관세 부과를 시사하자, 다우지수는 -1.9%, S&P500은 -2.7%, 나스닥은 -3.6% 하락했습니다. AI발 슈퍼 랠리를 주도하던 빅테크 주식들이 직격탄을 맞았죠.

이날 하루에만 뉴욕증시에서 2조 달러(약 2,870조 원) 규모의 시가총액이 증발했으며, CNBC에 따르면 M7(미국 주요 7대 기술주)의 시총에서만 7,700억 달러가 사라졌습니다.



AI 랠리, 급제동 걸리다


AI 대표 종목인 엔비디아(NVIDIA)는 장중 최고치를 경신한 직후 -4.91% 급락하며 하루 만에 2,291억 달러 시총이 사라졌습니다. 테슬라아마존도 각각 5% 하락하는 등 시장 전체에 공포감이 확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공포지수'로 불리는 VIX(변동성지수)는 무려 31.83% 상승해 21.66을 기록하며 4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코인 시장도 패닉... 4천억 달러 증발


암호화폐 시장도 무사하지 못했습니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4,000억 달러가 사라졌고,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190억 달러(약 26조 원) 규모의 포지션이 청산되며 역대 최대 피해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롱 포지션에서만 170억 달러 규모가 청산됐는데, 이는 FTX 사태나 루나 사태 당시보다 더 심각한 규모였습니다.


시장 증시 반응 손실 규모
뉴욕 증시 다우 -1.9%, S&P -2.7%, 나스닥 -3.6% 약 2조 달러
엔비디아 -4.91% 2,291억 달러 시총 증발
가상자산 전반적 급락, 롱포 청산 4,000억 달러 시총 증발


안전자산으로 피신하는 투자자들


위험자산에서 발을 빼는 움직임이 확산되면서 금과 은 등 안전자산으로의 자금 이동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은행의 골드뱅킹 잔액은 사상 처음으로 1조 5,000억 원을 넘겼고, 실버바(은괴) 판매도 전년 대비 2.5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특히, 골드바 수요가 급증하면서 공급이 부족해지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실버바로 투자 수요가 몰리는 양상입니다.



원화는 더 약세 가능성?


달러 약세가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원화는 더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기축통화가 아닌 원화는 달러 대비 상대적 약세를 보일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며, 당분간 환율이 1,400원대 초중반에서 머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결론: 단기 조정 vs 장기 트렌드


삼성자산운용 서범진 본부장은 “이번 조정은 일시적인 충격에 불과하다”며 “AI 버블이 아닌, 장기적인 트렌드 변화”라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트럼프가 말한 11월 관세 발효 이전에 불확실성이 해소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즉, 지금은 공포에 흔들리기보다 시장을 재점검할 타이밍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할 때입니다.



Q&A



Q1. 왜 증시가 트럼프 한 마디에 이렇게 급락했나요?
A.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에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미·중 무역 갈등이 재점화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공급망과 기업 실적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슈입니다.


Q2. AI 랠리는 끝난 건가요?
A. 전문가들은 'AI 버블'이 아닌 '트렌드 전환'으로 보고 있습니다. 단기 조정일 뿐, 중장기적인 상승 여력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의견입니다.


Q3. 지금 주식이나 코인을 팔아야 할까요?
A. 급락 시점에 전량 매도보다는 포트폴리오 점검이 필요합니다. 고점 종목 일부 차익 실현은 전략이 될 수 있지만, 추세 판단은 신중히 해야 합니다.


Q4. 금이나 은에 투자해도 괜찮을까요?
A. 공포 장세에서 안전자산 선호가 높아지면서 금과 은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 리스크 헷지를 원한다면 적절한 비중 투자는 유효합니다.


Q5. 환율 전망은 어떻게 되나요?
A. 당분간 원화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리스크 요인이 많기 때문에 환차손 가능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 이전